코드스테이츠 Weekly 8

코드스테이츠 Weekly8 : "애자일하게 트로스트를 기획해보자"(자료소실)

오늘은 트로스트의 가장 큰 문제점부터 이에 따른 솔루션 그리고 상세한 애자일 업무까지 기획해보는 시간이다. 1. 문제정의 : 2. 유저스토리 : 3. 백로그 : 4. 백로그 기능 상세설명: 5. 스프린트 플래닝 : 1.문제정의 트로스트의 현재 문제는 무료 서비스 이용 고객이 비대면 심리상담의 효과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에게 제품의 간접경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비대면 심리상담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도 아닐 뿐더러, 최소 가격이 3만원내외이다. 따라서 쉽사리 구매하기 힘들다. 제품의 효과도 가늠이 힘들 뿐더러, 제품을 한 번이라도 공짜로 쓰는 경험은 쉽지 않다. 따라서 '간접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유저스토리 제목: 가치 의심 스토리 무료 서비스 이용 ..

코드스테이츠 PMB Weekly7: 트로스트는 성장역량이 있는가?

트로스트는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위클리 과제에서 트랜비도 해야하나, 시간관계상 절반인 트로스트만 하겠습니다.) 트로스트는 심리상담 연결 플랫폼 기업입니다. 앱을 통해 심리상담사를 연결시켜줍니다. 비대면 심리상담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메세지, 전화 상담이 있습니다. 오늘은 트로스트가 " 스케일 업 하는 역량이 있는가?"에 대한 답에 대한 글입니다. 이에 따라 6가지 질문의 답을 해보겠습니다. (1)프로덕트의 MVP는 무엇이었는지, MVP의 핵심 기능은 무엇이었나요? : " 스마트폰으로 심리상담사를 비대면으로 텍스트상담 혹은 전화상담이 가능한가?" (2)프로덕트가 웹 또는 앱의 형태로 서비스는 이유는 무엇인지 or 웹, 앱 둘 다 서비스하는 이유는 무었나요?: "웹 기반 프로덕트는 개발 비..

코드스테이츠 PMB10 Weekly6 : "트로스트 개선을 위한 데이터 분석 ."

요번엔 최대한 간단히 요약해서 글을 쓰겠습니다. 1.트로스트의 문제점과 나의 해결책: 간접경험을 위한' 비대면 심리상담 콘텐츠화' 솔루션 2. 해결을 위해 확인할 지표 선정: 무료고객의 페이지 방문률에 따른 유료고객 전환율 3. 지표를 보기 위한 필요한 데이터는?: 설명 페이지에 방문한 무료고객으로 유료 고객의 비율이 오르나? 에 대한 8개의 데이터 4.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해 발견할 수 있는 가설들은?: "무료고객의 심리상담 설명 페이지 1회 이상 방문한 사람이 50% 증가하면, 유료고객 비율이 2% 오른다" 5. 검증하기 위해 어떤 방법?: A/B테스트 (여기서의 유료= 심리상담구매자로 한정합니다.) 1.트로스트의 문제점과 뽑은 이유 트로스트는 비대면 심리상담 연결 플랫폼입니다. 전체 다운로드 수 40..

코드스테이츠 PMB10기 Weekly5과제 트로스트의 성장 전략 분석과 전략 기획

트로스트는 지난 1년간 B2B매출만 15배 성장했다. 왜 그럴까? 트로스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에서 시작해 1. 트로스트의 Growth Point를 어떻게 찾았나? 2. 트로스트의 전략은 무엇인가? 3.트로스트를 AARRR퍼널 분석 4. 트로스트가 앞으로 성장하기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1.~3.을 통해 트로스트의 현재상태를 진단한다. 여기서 전략 포인트를 발견하고, 트로스트의 새로운 성장전략을 기획해 본다. 마지막 결론 정리가 있다. 트로스트는 비대면으로 통화, 메시지를 통해 심리치료를 도와주는 정신건강 앱이다. 기본적으로 고객과 심리상담사를 연결해주는 B2C 플랫폼 서비스다. 그외 명상과 ASMR음악등의 무료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심리 워크샵, 심리용품 이커머스도 있다. 1. 트로스트의 Growth P..

코드스테이츠 PMB10 Weekly4: 트로스트는 왜 카카오톡 같은 국민 앱이 아닐까?

트로스트는 왜 카카오톡 같은 국민앱이 못 되었을까? 오늘 Weekly 과제는 위 질문에서 시작한다. 트로스트를 모르는 사람을 위한 친절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위 질문에 대한 첫번 째 솔루션과 UX,UI 개선에 대해 이야기 해볼 것이다. 따라서 구성엔 1.기존 트로스트의 문제정의와 솔루션 2.기능정의서 3.정보구조도 4.화면디자인 5. 스토리보드가 있다. 1.번이 과제의 목적과 다르게 다소 길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Week3 과제의 문제설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1번은 세가지의 원인과 문제정의, 솔루션 4가지로 나뉜다. 1.기존 트로스트의 문제정의와 솔루션 (1) 원인- 첫 째 "잠재고객이 훨씬 많은데 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미래의 보완된 자본주의는 ESG자본주의다. 전세계 ESG 시장 규모는..

코드스테이츠 Weekly4 고민-왜? 중요한지 인식하는 것을 도와주는 능력

왜? 중요한지 인식하는 것을 도와주는 능력, 이것만 잘해도 슈퍼파워! 대게 소통에 있어서 소통 대상 특성과 그 사람과 나의 신뢰도가 중요하다고 알고 있다. 백날 전세계 전문가들이 뭐가 중요하다 떠들어 봣자, BTS가 UN에서 춤추고 노래부르며 한 마디 하는게 효과가 더 높을 수 있다. 모든 국가, 모든 기업에서 고민하는 주제다. 정말 중요한 것이라도 가르치려들면 안 된다. 역사에서 모든 국가가 항상 망하는 이유가 오늘 고민이 해결이 안되서다. 구조적인 이해관계, 시대적 조건 등으로 개혁은 실패한다. 그리고 나라는 망한다. 모든 기업이 언제나 고민한다. "어떻게하면 우리 제품의 장점을 알릴까?" 아무리 장점을 날카롭게 만들어도 시장에서 PMF를 충족 못시키면 기업은 망한다. 나는 기본적으로 사람보다 사물에..

코드 스테이츠 Weekly3 - 트로스트의 유료 서비스 향상 기획안

"심리학과니까 심리학적 기법으로 어떻게하면 트로스트의 유료 고객 숫자를 늘려볼까?" 1.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의 핵심기능 정의 (1) 트로스트의 고객 페르소나 문제: "나도 스트레스를 받고 고민이 있지만 50분당 3만원 내외하는 심리상담을 여러 번 받기엔 비싸다." "해결되지 않는 고민으로 스트레스가 많습니다. 그러나 정신과나 상담소가기엔 무섭고, 비쌉니다." (2) 문제점의 근거인 고객 데이타로 보는 Pain point와 인사이트 고객 문제의 핵심은 고객의 가격부담을 줄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세가지 근거가 있습니다. 첫 째, 리뷰기반 작은 통계데이터, 둘 째 한 명의 인터뷰 기록, 셋 째 앱 평점은 매우 적어 이탈률이 적지만 낮은 유료 회원률 입니다. 데이타에는 앱 후기 최근 50건을..

코드 스테이츠 PMB 10기 Weekly2 과제-Design Thinking과 고객 인터뷰로 '트로스트 '의 문제 정의

1.제품선정이유와 Design Thinking의 방향 설명 (1) 이 제품을 왜 선정했는가? 왜 이 기업이어야만 합니까? 시대에 맞게 사고하고, 행동해야 성과의 효율이 높은건 역사가 증명합니다. 세계적 리더의 전략서 손자병법에서도 '대세판단'은 장기플랜 말고도 눈앞의 닥친 판단에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100년만의 스페인 독감에 이은 코로나, 디지털 대전환, 미중 대립 등 2022년 현 인류에 닥친 도전들이 많습니다. 시대의 전환기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입니다. 이럴 수록 개인의 스트레스와 행복을 관리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수요는 점차 늘겁니다. 특히 디지털 대전환에 맞게 기존의 정신건강 시장에 비해 국내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고, 업계 매출 1위인 트로스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