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1순위 과제는 기후위기다. 착해서 환경보호하는 수준이아니라 멸종당하지 않으려면 그렇게 해야한다. 그럼 ESG를 가장 잘 실천하는 국내 이커머스 서비스 어디일까? 여럿 조사를 해봤지만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그나마 관련이 있는 크라우드 펀딩을 부가 기능으로 넣은 이커머스인 SSG의 '우르르'를 선택했다.
'우르르'의 고객은 '합리적이고, 인내심이 있는 소비자다' 그래서 이커머스의 부가기능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ESG가 더 보편화 되는 추세는 분명하니, 더 저렴하면서도 환경을 위한 제품들을 UI 상단에 위치해 놓으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또한 하드웨어 아니더라도, 자녀 교육이나 취미활동에 대한 서비스에 있어서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제휴쿠폰, 노하우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등에 대한 광고도 추가되면 좋을 것 같다.
1.이커머스 서비스 SSG의 '우르르' 선택과 선택이유.
ESG는 기업의 크기가 클수록 영향력도 크므로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위 지표를 통계로 상위 세곳을 조사해봤으나 실망했다. 쿠팡, 11번가, 이베이 코리아 모두 ESG를 제품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심지어 서스틴베스트가 발간한 ‘쿠팡의 장기적 기업가치를 위한 ESG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기본적인 인적관리 및 보건 안전체계가 미비해 업종대비 높은 산재신청율 및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해 S에서 아쉬움을 보여줬다.
SSG의 '우르르'서비스역시 기사에 비해 정작 친환경적인 제품은 적었다. 아직도 기업들은 기후위기보다 경쟁에서의 생존이 더 중요하다고 여긴다. 관심도1위인 쿠팡조차 적극적이지 않았다.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통해 재고를 대폭 줄이고, 가격역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미흡하지만 SSG의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인 '우르르'를 오늘 주제로 하려고한다.
2. 주요 기능과 특징
'우르르'는 판매자가 펀딩을 시작하면 고객들이 참여하고, 목표달성이 되면 종류됨과 동시에 배송이 된다. 구매확정부터 배송까지 느린 단점이 있다. 또다른 단점에 쿠폰과 카드혜택이 적용안된다. 주문 방식에서도 카드로만 가능하다. 또한 제품에 따라 취소가 불가능 할 수 있다. 고객들은 일반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에 더 높은 품질을 기대하고, 시장의 불평등을 줄여준다고 생각한다.
2021년 10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작성된 When Do Consumers Prefer Crowdfunded Products?"에서 소비자의 세가지 특징을 말한다. '크라우드펀딩'이라는 단어만 붙여도 사람들은 더 높은 품질로 인식하는 경향이있고, 그들은 이 소비가 시장의 불평등을 줄여주는 착한소비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단, 보상의 하이리스크는 기피한다고 하였다. SSG몰이라는 거대 기업의 브랜드 신뢰도가 고객의 보상에 대한 리스크를 줄여준다고 생각한다.
'우르르'에 있는 제품의 경우 직접 앱 상위에 볼 수있는 20~30개 제품들을 본 결과 일상, 가정용품, 가구가 전부였다. 뚜렷하게 ESG와 관련있는 제품은 없었다. 또한 가격은 확실히 저렴했다. 예를들어 네이버 고구마 3kg 특상이 2만 2천 800원이다. 우르르에서는 15900원이다.
3. 타겟 고객은 누구일까?
소비에 있어서 합리적이고, 인내심이 있는 고객이다. '느린 배송을을 감내하고, 낮은 가격과 적당한 품질을 추구하는 40~50대 여성'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별, 나이에 있어 큰 격차는 없다. 종합쇼핑몰의 고객은 20~30대 여성이 가장 적고, 20~30대 남성이 가장 많다. 더해 성별,나이별로 큰 격차가 없다고 생각한다. 우르르의 제품이 상당수 일상, 가정용품, 가구 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20~30대 남성 이용비중에 약간 떨어지는 40~50대 여성이 주 고객층일 가능성이 높다.
이커머스를 크라우드 펀딩으로 일상,가정용품의 제품을 산다는 의미는 명확하다. 배송은 많이 기다려도 매우 낮은 가격대비 고급은 아니어도, 적당한 품질의 제품을 구매하려고한다. 또한 ESG제품이 딱히 없는 것을 보면 소비자는 착한소비를 별로 의식하지 않는 듯 하다.
40대 여성이 50대 여성보다 일을 더 많이했고, 거의 고용된 형태를 띄었다. 따라서 고용된 40대 여성을 선정이 타겟 고객에 가장 근접한듯 한다. 이들의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가장 많았다. 사무 종사자도 많았다.
4.페르소나
사진의 경우 40대 여성 얼굴에 대한 일러스트를 활용했다. 출처는 PIXTA
5.어떤 기능이 추가되어야할까?
'우르르'의 고객은 '합리적이고, 인내심이 있는 소비자다' 그들은 느린 배송을 감수하고서라도, 적당한 품질의 제품을 많이 싸게 사길 원한다. 하드웨어 아니더라도, 자녀 교육이나 취미활동에 대한 서비스에 있어서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제휴쿠폰, 노하우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등에 대한 광고도 추가되면 좋을 것 같다. ESG가 더 보편화 되는 추세는 분명하니, 더 저렴하면서도 환경을 위한 제품들을 UI 상단에 위치해 놓으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요약
'우르르'의 고객은 '합리적이고, 인내심이 있는 소비자다' 그래서 이커머스의 부가기능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ESG가 더 보편화 되는 추세는 분명하니, 더 저렴하면서도 환경을 위한 제품들을 UI 상단에 위치해 놓으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또한 하드웨어 아니더라도, 자녀 교육이나 취미활동에 대한 서비스에 있어서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제휴쿠폰, 노하우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등에 대한 광고도 추가되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