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고,
병목현상, 사람의 인식같은 추상적인 것, 예를들어 소속감과 구체적 수단
이게 지치다보니 좀 불규칙적으로 웃은 느낌?
2. 설문
규칙
매우 소속 혹은 신뢰 2점
조금 소속 혹은 신뢰 1점
소속 혹은 신뢰하지 않는다. -1점
모른다. -1점(0점)
모른다. -1점 | 포털 | 지인 | 커뮤니티앱 | 비교값 |
소속감지수(소속감 총합/전체) | -56/200=-028 | X | 23/14=1.64 | 완전소속: 2 |
신뢰도지수(신뢰도 총합/전체) | 199/200=0.995 | 37/22=1.68 | 17/14=1.21 | 완전신뢰: 2 |
----
모른다. 0점 | 포털 | 지인 | 커뮤니티앱 | 비교값 |
소속감지수(소속감 총합/전체) | -20/200=0.1 | X | 23/14=1.64 | 완전소속: 2 |
신뢰도지수(신뢰도 총합/전체) | 199/200=0.995 | 37/22=1.68 | 17/14=1.21 | 완전신뢰: 2 |
커뮤니티의 앱의 경우 포털보다.소속감은 2배, 신뢰도는 0.2만큼 차이가 난다. 별로 아닌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완전신뢰도 2'와 비교하면 백분률시 50% vs 60%차이가 난다. 지인은 84%이다.
Q점수체계가 맞을까?
Q소속, 신뢰하지 않는 이유에 따라 점수 다르게 주어야 하는것아닐까?
포털값 사진
비교값 사진
(1)포털검색
소속감지수: 40/110=0.36
매우 신뢰도 지수
단점: 이유 명확히 반영 못함 단순 직관점수활용
매우 소속감 2x8=16
조금 소속감 1x24=24-->40
아니오, 모르겠다.-->78
소속감지수 40/78=0.51
OR
(소속감지수: 40/110=0.36)
-
매우 신뢰한다. 22x2=44
조금 신뢰한다.166x1=166
11x-1= -11
199/200=0.995
(2)지인
소속감지수X
매우 신뢰도지수:4.28
매우 소속감xno
조금 소속감xno
소속감지수=1
매우 신뢰한다. 15X2=30
조금 신뢰한다. =7
신뢰도지수:1.68
(3) 커뮤니티 앱
소속감지수: 23/14=1.64
신뢰도지수: 5/8=0.625
3.인사이트
X.모수가 어디서 뽑혔을까?
커뮤니티호응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