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첩하면서도 빠르게 업무를 하려면?
달리기 할 때 중요한 것이 두가지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대지를 딛고, 양쪽 발을 빠르게 번갈아 움직입니다. 그리고 장애물이 있으면 피해야 합니다. 이는 팀운영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애자일은 짧은 작업계획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수행합니다. 또한 내부, 외부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합니다.
오늘은 코드스테이츠에서 배운 12가지 에자일 법칙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를 4가지로 정리하고 생산성 소프트웨어 jira의 기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봅니다. 글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1.에자일과 에자일 12가지 법칙 : 작업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시제품을 만들어나가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2.에자일 12가지 법칙을 4가지로 만들기: 고객가치1개와 기업가치 3개를 다루는 에자일법칙
3. Jira 설명 : 아틀라시안이 개발한 버그 추적, 이슈 추적,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4. Jira의 에자일 적용: 4가지 법칙에 jira기능배치
1.에자일과 에자일 12가지 법칙 : 작업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시제품을 만들어나가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애자일 배경
전통적인 워터폴 개발 기법이 지닌 단점은 지나치게 계획과 절차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워터폴의 속성에 따라 아래 문제가 생깁니다.
첫째 각 과정의 심사 시간과 비용이 낭비됩니다.
둘째 개별 포인트에 집중해서 전체적 완결성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셋째 하나의 오류를 위해 이전으로 돌아가야합니다.
넷째 외부의 환경변화와 고객수요에 빠른 적용이 힘듭니다.
다섯째 위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야근이 잦아 피로도가 클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품 개발 유연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IT산업이 커지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한국의 K-에자일은 아직 전반적으로 미숙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애자일 뜻: 작업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시제품을 만들어나가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또한 에자일은 워터폴에 비해 민첩한 학습 중심이며, 문서보단 회의 비중이 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제가 쓴 글에 핵심적으로 나와있습니다.
코드스테이츠 PMB10기 W8D2: "PM이 팀 플레이를 어떻게 나누어 하나?스크럼!" (tistory.com)d
코드스테이츠 PMB10기 W8D2: "PM이 팀 플레이를 어떻게 나누어 하나?스크럼!"
PM이 팀 플레이를 어떻게 나누어 하나? '나눈다.' 인간의 사고체계에서 '개념'이란 것은 지식의 단위이며 기본적으로 '나누어' 인식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에게 들어오는 정보는 무한하고, 여기
hsfpg.tistory.com
애자일 선언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의 토대를 강화하는 원칙을 발표한 것입니다. 초안은 2001년 2월 11일에서 13일까지 유타의 워새치산맥에 있는 스노우버드 스키 리조트 라운지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제 1원칙: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고객 만족
제 2원칙: 요구사항 변경 수용
제 3원칙: 짧은 배포 간격
제 4원칙: 함께 일하기
제 5원칙: 동기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제 6원칙: 얼굴보고 대화하기
제 7원칙: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제 8원칙: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 유지
제 9원칙: 좋은 기술, 설계에 관심
제 10원칙: 단순성
제 11원칙: 자기 조직화 팀
제 12원칙: 정기적으로 효율성 제고
오늘 코드스테이츠에서 배운 애자일 12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나 4주차 UX에서 배운 내용 그리고 인지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의 작업기억은 많지않습니다. 작업기억이라는 정신활동의 도화지에 개수를 줄여야합니다. 따라서 위 12개 원칙을 4부분으로 줄여봤습니다.
2.에자일 12가지 법칙을 4가지로 만들기. : 고객가치1개와 기업가치 3개를 다루는 에자일법칙
에자일 12가지 원칙은 고객가치와 기업가치에 대해 다룹니다. 고객가치는 고객의 욕구를 위해, 기업가치는 팀플레이, 계획,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을 다룹니다.
고객가치-고객의 욕구: " 짧은 배포를 해야 초반부터 고객만족을 할 수있고, 요구사항 변경 수용가능"
=1,2,3 원칙
기업가치-팀플레이: "같은 방향의 동기가 강하고, 함께 얼굴보고 일하고, 대화해야. 함께 한다는건 의사결정권자도!"
=4,5,6,11 원칙
-계획: " 하나하나씩 완성 그리고 속도가 유지되야 계산이 가능하다. 더해 회고해야한다. "
=7,8,12 원칙
-개발: " 기본적으로 좋은 기술 디자인에 신경써야하고, 이들은 단순해야한다. "
=9,10 원칙
3. jira 설명 : 아틀라시안이 개발한 버그 추적, 이슈 추적,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아래에서 직접 보는게 이해가 빠릅니다.
4. jira의 에자일 적용 : 4가지 법칙에 jira기능배치
고객가치-고객의 욕구: " 짧은 배포를 해야 초반부터 고객만족을 할 수있고, 요구사항 변경 수용가능"
(1)프로젝트 페이지-제품 요구사항
고객의 요구사항을 적어 놓은 것이 있습니다.
(2)로드맵
계획의 기간을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보라색 바'=계획 기간 입니다. 보라색바를 마우스로 늘릴 수 있습니다. 이는 요구사항의 수용에 따른 능동적 계획변화의 가능성을 말합니다. 또한 짧은 배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날짜가 디테일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이것외에도 템플릿 수정이 자유롭습니다.!
기업가치-팀플레이: "같은 방향의 동기가 강하고, 함께 얼굴보고 일하고, 대화해야. 함께 한다는건 의사결정권자도!"
(1)zoom URL주소 연결
zoom 실험을 누르면 설정된 URL로 이동가능합니다. 정해진 줌 회의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얼굴 보고 대화하는 것을 도웁니다. 이는 의사결정권자가 언제든지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을 도웁니다.
기업가치 -계획: " 하나하나씩 완성 그리고 속도가 유지되야 계산이 가능하다. 더해 회고해야한다. "
(1)백로그: 누적계획
백로그 설정으로 하나한씩 집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여유가되면 기존 백로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2)보드: 스크럼, 칸반용
계획에 '보드'로 하나 하나씩'진행 중 이슈'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최대:1'이라는 것은 진행 중의 개수를 말합니다. 두개가 되면 오른쪽과 같이 창이 주황색으로 변합니다. 즉 알람을 주는 것이죠. 하나하나씩 완성이 가능합니다. 백로그와 연동이 됩니다.
이는 스크럼과 칸반에 적합합니다. 칸반은 작업 흐름이 중요해 작업 개수를 정한다는점, 스크럼은 유저스토리 기반한다는 점이 스크럼과 가장 큰 차이 입니다.
(3) 회고록 :회고
회고를 다같이 쉽게 작성하고 볼 수 있습니다.
(4)다양한 보고서 툴 :속도측정
시간에 관한 여러가지 보고서 템플릿이 있습니다. 이는 계획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좋습니다.
기업가치 -개발: " 기본적으로 좋은 기술 디자인에 신경써야하고, 이들은 단순해야한다. "
전체적 UI 세부적 기능 UI 등이 매우 단순하고, 직관적이었습니다. 이 글을쓰면서도 설명한 번 읽지 않고, 클릭 몇번으로 기능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1.에자일과 에자일 12가지 법칙 : 작업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시제품을 만들어나가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2.에자일 12가지 법칙을 4가지로 만들기: 고객가치1개와 기업가치 3개를 다루는 에자일법칙
3. Jira 설명 : 아틀라시안이 개발한 버그 추적, 이슈 추적,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4. Jira의 에자일 적용: 4가지 법칙에 jira기능배치
12가지 에자일 법칙이 복잡하면 저의 4가지 법칙을 기억해주세요
에자일 12가지 원칙은 고객가치와 기업가치에 대해 다룹니다.
고객가치-고객의 욕구: " 짧은 배포를 해야 초반부터 고객만족을 할 수있고, 요구사항 변경 수용가능"
기업가치-팀플레이: "같은 방향의 동기가 강하고, 함께 얼굴보고 일하고, 대화해야. 함께 한다는건 의사결정권자도!"
-계획: " 하나하나씩 완성 그리고 속도가 유지되야 계산이 가능하다. 더해 회고해야한다. "
-개발: " 기본적으로 좋은 기술 디자인에 신경써야하고, 이들은 단순해야한다. "
애자일(Agile)이란 무엇인가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민첩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성명서 - 간반존 (kanbanzone.com)
paran silverlight :: 칸반과 스크럼(Kanban and Scrum) (tistory.com)
'코드스테이츠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W4D4 자존감 관리 앱, 원더풀 (0) | 2022.05.05 |
---|---|
코드스테이츠 PMB10기 W8D2: "PM이 팀 플레이를 어떻게 나누어 하나?스크럼!" (0) | 2022.03.17 |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W8D1+D3: " 멀티프로필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0) | 2022.03.15 |
코드스테이츠 PMB W7D4: "에버노트의 데이터 흐름 분석 " (0) | 2022.03.14 |
코드스테이츠 PMB10 W7D3: "개발 방향의 선택, 앱 vs 웹" (0) | 2022.03.10 |